top of page

PREVIOUS EXHIBITIONS

화이트반스페이스 외부전시
WHITE BARN SPACE Outreach Exhibition
 
《시간의 윤곽》
  The Outline of Time

 

2021.06.26. - 2021.07.18(21).

참여 작가: 김성수, 이다빈, 박어금소, GAJJA(박소영)

Artist: Sung-Soo Kim, Dabeen Lee, Dexter Park, GAJJA(So-Young Park)

추최·주관: 화이트반스페이스

전시기획: 김혜준

후원: 수림문화재단

Hosted·Organized by WHITE BARN SPACE 

Planned by Hye-Jun Kim

Supported by Soorim Cultural Foundation

  Accumulating and recognizing the passage of time is a very subjective, personal, and irregular sense. In each person's time, which sometimes circulates slowly and perhaps accumulates continuously,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everyday moments inevitably contributes.

  In 《Outline of Time》, four writers develop their stories in their own ways based on elements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and real time.

  Sungsoo Kim's work is a process of exploring the conflict between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represented by images and language. This comes from discovering amplified sounds and unique images through personal conditions. The artist investigates and collects various types of objects represented by media and text images in the material world, and in this process, discovers the cracks that occur between an individual's suppressed consciousness and the flow of the world. The conflicts that occur when the collected images are arranged and the collection process and results of these random images are personal records that respond to the trends of the times.

  Dabeen Lee's world exists with one rule. The artist's world, which is based on delicate line drawings, has been steadily accumulated over several years, with more than one piece of fantasy realized each day. The narrative of the work is made using the forms of myth, fantasy, and comics, but its foundation comes from the very trivial elements and actions of daily life as seen by the author. The time constructed as a separate world by borrowing fantasy is in contrast to the continuous and linear time made up of years and dates.

  Based on his consistent drawings, Dexter Park thinks about various ways to pictorially translate elements of interest in everyday life. The everyday elements that the author randomly adopt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due to the influence of moving abroad during middle school. However, the artist disassembles and reconstructs the images adopted out of familiarity through continuous drawing, and considers ways to express pure texture and volume when finally transferring them to painting. Drawings as natural as everyday life continue to create new times and stories until they are reconstructed on the canvas.

  GAJJA reorganizes the helpless passage of time into ceramic objects. The exhibition work “4:31:07.65” depicts a small ember burning for 4 hours, 31 minutes and 7.65 seconds using 800 ceramic pieces. Each candle, which has no identical color or shape, is unique and contains a moment in itself. The artist embodies finely divided time as unmelting seconds, allowing the audience to visually recognize the passing time and moments.

  Through works that reflect each individual's time differently, we want to look into the time and narrative sensuously and see how the daily flow that started in small units is made visible through art. I hope that this will be a time for you to experience the ‘contours’ of different times, which are neither constant nor continuous, and cannot be easily seen with the naked eye, and to think about your own time.

Curator Hyejun Kim

KakaoTalk_20230701_173214333_02.webp
KakaoTalk_20230701_173214333_04.webp

  시간의 흐름을 축적하고 인식하는 것은 매우 주관적이고 개인적이며 불규칙한 감각이다. 때로는 느리게 순환하고, 어쩌면 연속해서 쌓여가는 각자의 시간 속에는 일상적인 순간을 바라보는 관점이 반드시 기여한다.

 《시간의 윤곽》에서는 네 명의 작가들이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요소와 현실의 시간을 단초로 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김성수의 작업은 이미지와 언어로 대표되는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충돌을 탐구하는 과정이다. 이는 개인적인 조건을 통해 증폭된 소리와 독특한 이미지를 발견하는 내용에서 비롯된다. 작가는 물질세계에서 미디어 매체와 문자 이미지 등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형태의 개체를 조사하고 수집하는데, 이 과정에서 개인의 억압된 의식과 세계의 흐름 간에 발생하는 균열을 발견한다. 수집한 이미지를 배열하였을 때 발생하는 충돌과 이 무작위적인 이미지들의 컬렉션 과정과 결과는 시대적으로 나타나는 흐름에 대처하는 개인적인 기록이다.

이다빈의 세계는 하나의 규칙으로 존재한다. 섬세한 라인 드로잉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작가의 세계는 하루에 한 점 이상 판타지로 구현되어 몇 년 간 꾸준히 축적되어왔다. 작품 서사는 신화와 판타지, 만화의 형식을 활용하여 이루어지지만, 그 기반은 작가가 바라본 일상의 아주 사소한 요소와 행동에서 비롯된다. 판타지를 차용함으로 인해 별개의 세계로 구축된 시간은 연도와 날짜로 이루어진 연속적이고 선형적인 시간과 대조적으로 어우러진다.

Dexter Park은 꾸준한 드로잉을 기반으로 일상에서 흥미를 가진 요소들을 회화적으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고민한다. 작가가 무작위로 채택하는 일상적 요소는 중학교 시절 해외로 이주한 영향으로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리할 수 없다. 그러나 작가는 익숙함으로 채택된 이미지들을 계속된 드로잉을 통해 분해하고 재구축하며, 이를 최종적으로 회화의 방식으로 옮겨올 때 순수한 질감과 부피감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일상처럼 자연스러운 드로잉은 캔버스에서 재구축되기까지 계속해서 새로운 시간과 이야기를 생성한다.

GAJJA는 속절없이 흐르는 시간을 도자기 오브제로 재구성한다.전시작 「4:31:07.65」는 작은 불씨가 4시간 31분 7.65초 동안 불타오르는 형태를 800개의 도자기로 표현한다. 서로 동일한 색과 형태가 없는 각각의 초는 그 자체로 한 순간을 담은 채 유일하다. 작가는 잘게 쪼갠 시간을 녹지 않는 초로 구현해 관객으로 하여금 스쳐지나가는 시간의 흐름과 순간을 가시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각자의 시간이 다르게 녹아있는 작품들을 통해  작은 단위에서 시작된 일상적인 흐름이 예술을 통해 어떻게 가시적으로 만들어지는지, 그 시간과 서사를 감각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일정하지도, 연속적이지도 않으며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도 없는 서로 다른 시간의 ‘윤곽’을 경험하고 자신의 시간에 대해 사유하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

 큐레이터 김혜준

bottom of page